개요
지난 포스트에서 2007년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백테스트 결과 중 최대 낙폭구간에서 있었던 경제 위기와 최대낙폭을 알아보았습니다. 그 중에서도 최대낙폭율 8위부터 11위까지 알아보았는데요. 이번에는 4위부터 7위까지 구간을 알아보겠습니다.
백테스트의 손실구간
2020. 02. 코로나19
![]() |
2020년 2월은 전세계에 걸쳐 강한 인상을 남긴 코로나 19 위기가 왔었습니다. 코로나 19는 중국의 우한 지역에서 발생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으나 현재 중국의 조사단 협조 거부 등으로 정확한 발원지는 밝혀지지않은 상태입니다. 코로나 19의 전파력과 치사율에 대한 공포로 근로자들이 출근을 거부하면서 공장의 생산이 중단되었고, 특히 세계의 공장으로 전세계 제조업의 3분의 1을 담당하는 중국의 공장들 또한 운영을 거부했습니다. KF94 마스크의 성능 또한 전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으면서 중국인의 KF94 마스크 사재기가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이 때의 공포 분위기를 나타내는 영상을 첨부했습니다.
![]() |
아이러니하게도 중국의 공장 가동 중단으로 우리나라의 미세먼지 등의 환경 오염이 잠시 개선됐었습니다. 코로나 19 감염에 대한 두려움으로 소비자들의 쇼핑 자제로 소비도 줄어들었고, 각국이 입국 금지 조치를 하면서 여행산업도 마비되는 등 모든 분야에서 악재가 겹치면서 미국, 한국의 주가도 3분의 2 수준으로 급격히 하락했습니다.
낙폭시작일 | 최대낙폭일 | 낙폭최종일 | 지속기간(일) | 최대낙폭율(%) |
2020/02/20 | 2020/03/23 | 2020/04/01 | 30 | -9.12 |
코로나19로 인한 최대낙폭율 3월 23일 -9.12%였습니다. 이후 30일의 회복기간을 거쳐 4월 1일에 다시 고점을 갱신하기 시작했고, 정부 지원금 등의 보조금이 주식 시장으로 몰리면서 처음으로 코스피가 3000을 돌파했습니다.
2018. 05. 알고리즘으로 인한 하락
![]() |
5월의 하락은 경제상황과 무관한 포트만의 하락이었습니다.
2011. 08. 미국 신용등급 하락
![]() |
![]() https://eiec.kdi.re.kr/material/clickView.do?click_yymm=201512&cidx=1589 |
2011년 8월 5일 세계 3대 신용평가회사 중 하나인 S&P가 마국의 국가신용등급을 사상 최초로 최고 등급인 AAA에서 AA+로 강등했습니다. 이는 국가별 신용등급이 발표되기 시작한 1941년 이후 70년 만에 처음 있는 일로 크게 세 가지 이유가 원인이었습니다. 첫째, 미국의 심각한 국가부채 비율로 미국의 연방정부 부채는 14조 5,800억 달러로 2010년 미국의 명목 GDP(명목 GDP : 생산액을 당해년도 시장가격으로 평가한 것, 14조 5,300억 달러)를 넘어섰습니다.
![]() |
다른 국가와 비교해 큰 비율로 부채가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미국 정부나 의회가 이 국가부채 문제를 크게 개선할 해법을 내놓지 못했습니다. 세 번째는 정부 부채한도의 증액 협상 과정에서 드러난 정치적 리스크도 신용등급 하락 결정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참고로 S&P는 잘 알려진 S&P500 지수를 고안한 회사입니다.
낙폭시작일 | 최대낙폭일 | 낙폭최종일 | 지속기간(일) | 최대낙폭율(%) |
2011/08/18 | 2011/09/28 | 2011/10/14 | 39 | -10.5 |
이로 인해 9월 28일 -10.5%의 낙폭율을 보였고 39일 뒤인 10월 14일에 손실이 회복되었습니다.
2008. 8. 리먼 브라더스
![]() |
전략을 평가하는 방법 (금융위기) (1)
개요 전략을 완성하고 투입해야겠다는 마음이 들었다면, 만족스러운 CAGR과 MDD를 보여주는 전략일 것입니다. 이 전략을 실전에 투입함으로써 무지개빛 밝은 미래만 기다리면 좋겠지만, 실전매매
choco1024.tistory.com
위 글의 2008. 11. 06. 손실과 연결되는 내용으로 슈카월드의 리먼브라더스 요약 영상으로 대체합니다.
낙폭시작일 | 최대낙폭일 | 낙폭최종일 | 지속기간(일) | 최대낙폭율(%) |
2008/08/12 | 2008/10/16 | 2008/11/04 | 39 | -10.5 |
10월 16일 최대낙폭율 -10.5%로 39일 뒤인 11월 4일에 손실이 회복되었습니다.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하단의 하트와 구독을 눌러주세요. 하트와 구독은 글을 쓰는데 큰 힘이 됩니다.

'자산관리 > 젠포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워렌버핏 투자전략 (0) | 2023.01.16 |
---|---|
전략을 평가하는 방법 (금융위기) (3) (0) | 2022.10.25 |
전략을 평가하는 방법 (금융위기) (1) (0) | 2022.10.20 |
조건작성팁(상장폐지 종목) (0) | 2022.10.15 |
실전매매로 넘어가기 전 확인해야 할 것(실전괴리) (0) | 2022.10.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