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AWS EC2 Instance에 고정 IP 설정하기(탄력적 IP)

by 고소한도톰발바닥 2025. 2. 14.
728x90
반응형
SMALL

 지난 글에서 AWS EC2 Instance를 Lambda 스케줄링으로 원하는 시간에 실행, 종료하는 방법에 대해 다루어 보았습니다. 이번에는 Instance에 고정된 IP를 설정하는 방법을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들어가기에 앞서, 클라우드 서비스의 중요한 고려사항 중 하나인 IP 요금제를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쉽게 말해 IPv4 주소의 고갈 문제로 인해 주소 사용료가 증가했고, 이로 인해 2024년 2월 1일부터 IPv4를 사용하는 리소스에 대해 시간당 0.005USD를 부과한다는 내용입니다. 직접 설정하지 않았지만 원격으로 Instance에 IPv4 주소로 접속을 해 본 기억이 있는 분들이라면 자각하지 못하는 사이 IPv4 주소 사용료가 청구서에 포함되어 있을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이 정책으로 인해 IPv4 주소를 사용하는 것과 고정 IP 주소(탄력적 IP 주소)를 사용하는 것이 동일한 요금이 발생한다는 것인데요. EC2 Instance는 중지, 재실행 할 경우 IP 주소가 변동되기 때문에, 같은 값이라면 변동되는 IP 주소보다는 고정 IP 주소를 사용하는 것이 관리의 관점에서 더 효율적인 선택이 되겠습니다. EC2 Instance를 스케줄링 형태로 운영하면서 실제로 IP 주소의 변동을 겪었고, 관련된 관리 방안과 요금 제도를 보면서 우연히 알게된 내용입니다.

 

탄력적 IP 설정하기

 

 [EC2] - [네트워크 및 보안] - [탄력적 IP]로 이동합니다.

 

 

[탄력적 IP 주소 할당]으로 이동합니다.

 

 

[할당]으로 이동합니다.

 

 

[할당된 IPv4 주소]에 생성된 IP를 선택합니다.

 

 

[탄력적 IP 주소 연결]을 선택합니다.

 

 

[인스턴스]에서 EC2 Instance를 선택하고, [프리미엄 IP 주소]에서 Instance의 IP를 선택 후 [연결]을 선택하면 연결이 완료됩니다.

 

 설정이 완료되면 Instance가 종료, 재실행 되더라도 위 과정을 통해 발급반은 탄력적 IP 주소를 통해 원격으로 접근이 가능합니다. 이 설정의 장점은 AWS의 IP 요금 제도 변경으로 인해, 기존과 동일한 비용을 지불하면서 고정된 IP 주소를 사용가능하다는 것입니다. 현재 3개의 IP 주소를 할당받아 사용중이며, 관련된 이용 요금은 월말 요금 청구서가 나와보면 알 수 있을것 같습니다. 요금 청구서가 도착하면 추가글로 공유해보겠습니다.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하단의 하트와 구독을 눌러주세요. 하트와 구독은 글을 쓰는데 큰 힘이 됩니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