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산관리/투자여정

자산배분 포트폴리오, 개별주 전략을 결합해도 될까?

by 고소한도톰발바닥 2023. 1. 13.
728x90
반응형
SMALL

운용 4개월차에 접어든 영구포트폴리오

 원화와 달러를 조합한 영구포트폴리오를 운용한지 이제 4개월차가 되었습니다. 현재까지 느낀점을 한 줄로 말해보면 "생각처럼 흘러가지 않는다." 라고 표현할 수 있겠습니다. 무적일것 같았던 수익률과 MDD가 생각같지 않았고, "흘러가는대로, 원칙대로 운용하겠다."는 마음도 유지하는것이 힘들었습니다. 다행히 중간 개입은 없었습니다만 개입하고싶다는 유혹을 많이 느꼈고, 투자에서 심법이 가장 중요하다 얘기하는 이유를 다시금 느끼게 되었습니다. 왜 생각대로 흘러가지 않았는지 지금부터 자세히 얘기해보겠습니다.

백테스트의 오류

 블로그를 찾아오신 분들이라면 제가 소개해드린 백테스트 툴을 사용해보거나, 이미 투자를 하고있는 분들일텐데요. 저는 영구포트폴리오를 백테스트해보고 개량한 투자전략을 결합해 정적 자산배분 포트폴리오 운용을 시작했습니다. 영구포트폴리오의 백테스트 성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적은 변동성을 그리며 올라가던 포트폴리오가 작년 말부터 급락하다 최근에 조금 회복한 모습입니다. 여기까지는 달러를 기준으로 했을때의 결과입니다. 포트폴리오를 운용하는 우리는 한국에서 원화를 사용하고 환율에 따라 물건값이 변동하기 때문에 원화로 변환했을 때의 성과도 중요한데요. 원화로 환산했을 때의 결과를 보겠습니다.

환율을 적용한 달러, 한화 기준의 영구포트폴리오 그래프

 파란색이 달러 기준, 빨간색이 원화 기준의 백테스트 그래프입니다. 두 그래프가 최근들어 상이하게 움직이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미국인이 포트폴리오를 구성한다면 파란색 그래프처럼 최근의 하락장과 같은 흐름으로 하락하겠지만 원화를 사용하는 우리의 입장에서는 빨간색 그래프처럼 환율에 의해 달러 자산군의 자산 평가액이 증가함에 따라 자산가치가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수익률 상으로는 손실로 나타나겠지만요. 이전의 그래프를 보면 2014년에는 오히려 원화 기준의 자산가치가 하락하는 시기도 있었습니다. 경제 상황에 따라 달러의 가치가 변하다보니 원화 기준의 포트폴리오는 달러 기준의 영구포트폴리오와 다른 흐름을 보이게되고 백테스트에서 보여준 수익률과 MDD를 기대할 수 없게됩니다.

어떻게 대응해야할까?

 가장 중요한건 대응입니다. 그래서 어떻게 대응해야할까요. 지금 운용중인 전략의 과거 데이터를 가지고 직접 시프레드시트로 백테스를 진행했습니다.

운용포트폴리오와 영구포트폴리오 성과 그래프

항목 수익률 CAGR MDD
영구포트폴리오 227.78% 6.5% -12.04%
국내주식 혼합 포트폴리오 506.24% 13.2% -9.45%

 결과를 보면 포트폴리오는 결론적으로 우상향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수익률과 MDD에서 영구포트폴리오를 훨씬 상회하고있고, 꾸준한 우상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젠포트를 운용중이고 미국의 자산군으로 자산배분까지 하는 투자자라면 혼합포트폴리오의 백테스트를 통해 전략을 검증하고 투자를 이어가시면 될것 같습니다. 투자의 끝에는 분명 전통적 자산배분과는 다른 포트폴리오만의 성과가 있을겁니다.

마치며

원화 자산 없이 순수 달러 자산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한 상태라면 이번 포스트의 내용이 와닿지 않을 수 있겠지만, 원화와 달러를 혼합해서 운용중인 투자자라면 한 번쯤 해볼법한 고민을 백테스트로 검증해봤습니다. 이번 위기로 전통적인 자산배분전략들이 무너지는것을 보고 운용중인 포트폴리오가 안전한것인지, 투자를 지속해도 되는지에 대한 걱정이 되어 이번 백테스를 해보게 되었습니다. 모든 자산군이 하락하는 시장에서 환율이 1400원대까지 상승하면서  포트폴리오는 나름대로의 방어를 해주었고, 계좌의 수익률은 마이너스지만 평가가치는 오히려 올랐다는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순수 달러자산군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했다면 이런 사례와 같은 효과로 수익을 보는 포트폴리오도 분명 있었을겁니다. 그런 측면에서 본다면 순수 달러 자산군이 오히려 장점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원화 자산군이 있었다면 환율에 의한 리밸런싱이 있었겠지만 순수 달러 자산군은 원화 기준에서의 MDD 방어에서 그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이번 포스트는 "포트폴리오에 원화와 달러가 함께 구성되면 전통적 자산배분과 다른 흐름을 보이고 젠포트를 이용한 원화, 달러 자산군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한다면 충분한 백테스트로 기존의 자산배분 전략을 이길 수 있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저와 같은 혼합형 포트폴리오를 운용하시는 투자자분들에게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오늘 글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하단의 하트와 구독을 눌러주세요. 하트와 구독은 글을 쓰는데 큰 힘이 됩니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