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관리/투자여정

자산이 모두 하락하는 장에서는 어떻게 대응해야할까?

고소한도톰발바닥 2022. 10. 15. 00:11
728x90
반응형
SMALL

개요

세계적인 경제위기로 주식, 채권 자산이 하락해 모든 동적자산배분이 무너지는 장에서는 어떻게 대응해야할까요? 손실을 최소화하고 경제위기에서도 수익을 얻기위한 하락장 대응 전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현재 운용중인 전략

지난달 영구포트폴리오를 시작하면서 자산군과 그 비중에 대해 소개했었습니다.

 

영구포트폴리오로 돌아온 이유

개요 지난 글에서 배당주 위주의 포트폴리오를 정리하고 영구포트폴리오로 돌아왔다고 소식을 전했었습니다. 그 이유로 자산군의 상관성을 고려한 포트폴리오를 구성함으로써 리스크 관리를

choco1024.tistory.com

하락장이 1년 이상 지속되면서 하락하는 자산군도 있는 반면 상승하는 자산군도 있어 큰 손실 없이 포트폴리오는 순항중에 있습니다. 현재 포트폴리오는 영구포트폴리오와 다르게 달러와 원화 자산이 함께 구성되어있어 환율에도 함께 영향을 받고 있는데요. 오늘 systrader79님의 글을 통해 현재 포트폴리오의 하락장 방어에 대한 논리와 확신을 가질 수 있게되었습니다.

Systrader79님의 인사이트

"주식과 채권이 모두 하락하는 극단적인 위기 구간에서는 동적자산배분 전략이 안전자산으로 도피하더라도 시장상황에 따라 모든 자산이 하락하기 때문에 안전자산도 방어가 되지않는다. 금, 부동산 또한 동반 하락해 헷지가 될 수 없다. 이 때의 하락을 방어하기 위한 다른 자산을 보유해야하는데 이에 해당하는 자산이 인버스, 달러 또는 달러ETF다." 라는게 핵심입니다.

달러의 헷지 효과

 

실전 투자 전략 (133) - 주식 : 채권 상관성 문제 해결 (3)

이번 포스팅에서는 달러 ETF를 이용하여 주식과 채권이 동시에 하락하는 장에서도, 단순히 손실을 줄이는 차원을 넘어 강력한 수익을 올리는 자산 배분 전략을 살펴보겠습니다. 잠시 복습하고

stock79.tistory.com

주식, 채권, 현금을 동일비중으로 보유했을 때(검정), 주식비중을 달러로 보유했을 때(빨강)의 수익률 그래프입니다. 최근 구간에서 오히려 급격히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수익률을 더 극대화한다면 주식과 채권을 인버스로 보유하는것도 대응전략이 될것같습니다.

결언

한국투자증권 정현종 CFA의 환노출 포트폴리오 리서치 자료

https://file.truefriend.com/Storage/research/research02/0808_AssetAllocation_Note_final.pdf

0808_AssetAllocation_Note_final.pdf
0.31MB

현재 포트폴리오를 구상하면서 현금을 달러로 보유할것인가, 단기채로 보유할것인가, 아니면 원화로 보유할것인가를 놓고 고민을 했었습니다. 결론은 달러였습니다. 포트폴리오의 환노출을 통해 변동성을 키워 환율변동 또한 수익의 기회로 활용할 수 있을거라는 생각에서였습니다. 자산배분을하고 얼마 지나지않아 만난 위기상황이 오히려 포트폴리오의 안정성을 검증하는 기회가 된것같습니다. 자산배분 전략으로 경제적자유를 향해가는 분들이라면 소개드린 헷지전략의 활용을 통한 수익률 증대를 고민해보는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하단의 하트와 구독을 눌러주세요. 하트와 구독은 글을 쓰는데 큰 힘이 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