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관리/투자여정

영구포트폴리오로 돌아온 이유

고소한도톰발바닥 2022. 9. 28. 23:47
728x90
반응형
SMALL

개요

지난 글에서 배당주 위주의 포트폴리오를 정리하고 영구포트폴리오로 돌아왔다고 소식을 전했었습니다. 그 이유로 자산군의 상관성을 고려한 포트폴리오를 구성함으로써 리스크 관리를 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씀드렸었는데요. 자산군 상관성의 중요성과 현재 포트폴리오의 상관성 분석 결과를 함께 알려드리겠습니다.

 

자산군 상관성의 중요성

1952년 해리 마코위츠는 <포트폴리오 선택>이라는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다른 형태의 수익률을 보이는 투자 상품을 결합하면 전체 포트폴리오의 변동성이 감소한다는것을 보여주는 수학적 모델을 논문에서 공개했습니다. 다른 형태의 수익률을 보이는 투자 상품을 상관성이라는 개념으로 풀어내면, 동일한 추세를 보이는 자산의 상관성을 1, 각자 다른 움직임을 보이는 자산의 상관성을 0, 완전 반대의 추세를 보이는 자산의 상관성을 -1이라고 했을 때, 자산군의 상관성이 음수에 가까운 자산들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했을 때 포트폴리오의 변동성은 감소하게됩니다. 자산배분에 대한 설명을 할 때 가장 자주 언급되는 말이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 인데요. 자산배분의 핵심인 상관성은 단순히 많은 바구니에 계란을 나눠담는다는 표현보다는 일부는 가방, 또 다른 일부는 신문지로 감싸는 등 완전히 다른 방식의 보관을 한다는 표현이 더 맞는것 같습니다. 상관성이 낮은 자산들은 각자 하락과 상승의 추세에 따라 움직이고 서로의 하락, 상승분을 상쇄하면서 변동성을 줄여줍니다. 상관성을 고려해 완성된 포트폴리오는 경제 상황에 따라 자산군의 비중이 변하는데 고평가된 자산군은 비중이 늘고 저평가된 자산군은 비중이 줄어듭니다. 여기에 자산군 리밸런싱을 해준다면 저평가, 고평가된 자산군이 원래의 가치를 평가받으면서(평균회귀) 자산배분의 알파가 발생하여 안정적인 수익을 가져갈 수 있습니다.

자산군별 상관성 비교

구글 시트를 활용한 자산군 상관성 분석 결과

영구포트폴리오에서 말하는 자산배분 자산군 간의 상관성을 비교해보았습니다. 자료 사진에서 보면 주식 대신 구성된 계좌 1, 2, 3, 4는 서로 비슷한 상관성을 가지는 반면 채권(TLT)과 금(IAU)과는 0과 가까운 상관성을 보입니다. 그리고 달러는 0.3으로 낮은 상관성을 보입니다. 그리고 금과 채권은 거의 비슷한 상관성을 보이는데 자료 사진은 환노출을 적용했을 경우의 상관성으로 Backtest Visualizer에서는 0.29로 낮은 상관성을 보였습니다. 채권과 금의 상관성을 0.29로 적용하면 상관성이 고르게 낮은 포트폴리오라고 봐도 될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기존에 운용했던 50:50 포트폴리오는 어떨까요?

 

국내주식, 리얼티인컴(O) 상관성

의외로 훌륭한 상관성을 보여주었습니다. 국내주식과 리얼티인컴이 0에 가까운 상관성으로 자산배분을 해도 무리가 없을 정도로 낮은 상관성이 나왔습니다. 수치와 백테스트를 통한 퀀트투자를 지향하는 사람으로써 다시 이전의 포트폴리오로 복귀해야하나 생각이 들었습니다. 마침 리얼티인컴이 1년 이동평균선을 깨고 하락하기도 했고요. 글을 작성중인 현재 리얼티인컴은 60$까지 내려온 상태입니다.

 

리얼티인컴을 포함한 영구포트폴리오 자산군 상관성

리얼티인컴의 선방에 전체 자산군의 상관성을 계산해보고 놀라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리얼티인컴이 답이었던걸까요? 모든 자산군과 완전히 무관하게 움직이는 자산군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모든 자산군과 최대 3% 미만의 상관성을 보였고, 월배당으로 유명한 기업인만큼 분석 결과로는 편입하는것이 맞습니다. 다만, 개별주라는점, 다른 포트폴리오에서는 차용되지 않은 사례라는 점에서 결과를 받아들이기가 힘들게 느껴지는데, 다른 자산군과의 비교를 통해 자산군의 다양화를 고민해봐야겠습니다.

 

영구포트폴리오로 돌아온 이유

영구포트폴리오로 돌아온 이유는 국내시장이 폭락하는 상황에서 영구포트폴리오에 들어가는 달러는 오르고 있다는점, 잠시나마 영구포트폴리오를 운용했을 때 현저한 변동성 저하를 경험해보았다는 점에서 였습니다. 자산배분 분야에서는 잘 알려진 전통적인 정적 자산배분 전략이기도 하고요. 하지만 글을 작성하면서 분석을 병행하다보니 마음의 동요가 생겼습니다. 리얼티인컴을 함께 분석하기 전만해도 자신있었던 포트폴리오였는데, 분석 결과가 예상과 크게 달랐습니다. 그렇다고해서 다시 50:50 포트폴리오로 복귀하지는 않을것 같습니다. 다만, 추가적인 자산군 편입을 위한 분석은 계속할거같습니다.

 

결언

며칠사이 환율이 60원 증가하였고 국내주식은 최근 저점을 깨고 깊은 하락을 하고있습니다. 이러한 힘든 경제 상황 속에서도 영구포트폴리오는 원금을 잘 지켜주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큰 하락없이 자산군의 비중이 움직이는 모습에 현생에 더 집중하고 근로 소득 향상을 위한 노력에 힘쓸 수 있어 잘 한 선택이라는 생각도 듭니다. 글을 돌이켜보면 아직 방향을 잡지 못하고 우왕좌왕하는 초보 자산배분 투자자의 모습을 너무 잘 보여주는듯 합니다. 월말 첫 리밸런싱을 앞두고 있는데 이제는 원칙을 지키는 자산배분 투자에 힘써보려합니다. 다음 글은 리밸런싱 결과에 대한 글이 될것같습니다. 모두 각자의 알파를 찾아 성공하는 투자를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